본문 바로가기

금융문맹탈출

금리가 인상되면 어떻게 될까요?

금리가 인상되면 어떤일들이 일어나게 될까요?

 

특히나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게되면 우리나라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나게 되는지 궁금해서 다양한 뉴스를 접하고 정리해 봤습니다.

 

우리나라 현재 금리는 1.75%입니다. 얼마전까지는 1.5%였는데 한국은행에서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현재 미국의 금리는 2.5%라고 합니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국내에 있던 자금이 미국으로 이탈할 우려가 있기때문에 금리를 올리는것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기본적으로 금리를 올리는 이유는 경기가 좋기 때문이며, 물가가 폭등하지 않게 하기위해서 금리를 올립니다.

하지만 실제 경기가 좋아서 금리를 인상하는것이 아니라,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금리를 올릴경우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의 경우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비용이 늘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가 감소할 수도 있지만, 금리가 오른다는것은 경기가 좋다는 반증이기 때문에 이것을 예상하고 부동산에 투자를 늘릴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경기가 예상처럼 좋지 못하다면 부동산가격은 오르지 못할 것이고, 이자비용만 계속 증가하게 되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이자비용이 증가하는데 현재 가계부채는 1,500조가 넘는다고 합니다. 집을살때 은행에서 빌린자금, 창업을위해 은행에서 빌린자금들에 대한 이자 비용이 증가하므로 소비자들은 지출을 줄일 수 밖에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면 기업이나 상점들은 손님이 줄기때문에 장사가 덜되며 매출이 떨이지게 됩니다. 매출이 떨어지면 수익이 하락하므로 또 지출을 줄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럼 경기가 점점 얼어붙게 됩니다.

 

 

기업들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업은 은행에서 돈을 빌려서 투자를 늘리는데 이자비용이 증가하면, 투자를 망설이게 됩니다.투자가 줄면 고용이 줄고, 고용이 준다는것는 취업자수가 하락하는것이고 실업자수는 증가하게 됩니다.

 

취업자가 취업을 못한다면, 가계에 소득이 늘지 않는다는것이기 때문에 지출은 더 감소하게 되므로 경기가 좋아지지 않은 상황에서 금리를 인상한다는것은 우리에게 않좋은 일이라 생각됩니다.

 

※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지적 부탁드립니다.